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맥에서 svn 사용하기

일단 맥에서 svn 설치하는걸 왜 하냐면...

요즘 회사를 옮기면서 javascript 만 사용하다보니 기존에 사용했던 것들을 잊어 버릴 듯 해서...

제 친구중 개발자인 친구들을 찾아서 같이 공부 할 계획이다.

그런데 서버가 없어서.... 친구들과 프로젝트를 공유 할 수가 없다..

공부할껀데 굳이 서버를 사거나 돈주고 서버 빌리기도 그래서

그냥 내 노트북으로 집에서 할때만 서버용으로 얘들이랑 svn 돌릴 예정이다
(그러므로 내가 갑이다. 내가 노트북을 키지 않으면..... 내가 컴퓨터 할때만 svn할거야!! 불만있으면 니들이 서버 사!!!)



자 일단 맥에서는 기본 svn 을 제공을 해준다.



아파치 설정을 해보도록 합시다





들어가셔서 "LoadModule dav_module libexec/apache2/mod_dav.so" 해당 문구를 찾으셔서

주석을 풀어줍니다.(주석은 #으로 되어있다.)




저장하고 나와서 http-subversion.conf 파일을 만듭시다

LoadModule dav_svn_module libexec/apache2/mod_dav_svn.so
LoadModule authz_svn_module libexec/apache2/mod_authz_svn.so

<Location "/svn">
    DAV svn
    SVNPath "/Library/svn/study"
    AuthType Basic
    AuthName "subversion"
    AuthUserFile "/Library/svn/study/conf/htpasswd"
    AuthzSVNAccessFile "/Library/SVN/conf/authz"
    <LimitExcept GET PROPFIND OPTIONS REPORT>
        Require valid-user
    </LimitExcept>
</Location>




저위에 텍스트를 복사해서 넣으세요!

그 후 저 텍스트에 있는 SVNPath 에 적힌 "/Library/svn"로 들어갑니다
(저는 기본 패스를 "/Library/svn" 이라고 잡고 친구와 같이 할 레파지토리를 "study"로 한것입니다.)

들어 간후 레파지토리를 만듭시다!! 전 "study"라고 만들겠습니다


그러면 하위 메뉴에 자동으로 설정파일들이 생성이 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Intellij에서 Eclipse 프로젝트 import시 설정해줘야 할 것들

요즘 여유가 좀 생겨서 지금까지 Eclipse만 쓰다가 사람들이 하도 Intellij가 좋다하길래 얼마나 좋길래 하고 써보려고 하다가 프로젝트를 import 시키던중 좀 적어두면 좋을거같아서 적어보려고한다 !! 다음에 잊지 않기 위해... 1. Settings > Build, Execution, Deployment > Compiler > Java Compiler 버전 맞추기 2. 상단에 설정 추가 하는부분을 눌러 톰켓을 생성해준다. 꼭 넣어줘야할 부분은 VM options에  -Dfile.encoding=utf-8  한글 깨짐 방지다. (그리고 intellij 설치 된 곳에 bin폴더 안에 vmoptions 확장자를 갖은 녀석의 맨 마지막 줄에도 넣어준다!) 3. project structure > Project Settings > Project 그리고 java버전에 맞춰서 project language level도 맞춰줘야합니다! 4. project structure > Project Settings > Modules - Sources 여기도 project language level도 맞춰줘야합니다! 5. project structure > Project Settings > Modules - Dependencies 들어가서 + 단추를 누르고 Library..를 누르고 Tomcat 추가! 이러면 이클립스에서 갖고온 프로젝트가 잘 동작합니다!! 아 그리고 .settings, .classpath, .project 는 필요 없어지므로 삭제해도 무방합니다 ps. 사실... 이클립스 쓰면서 불편한건 하나도 없었어요... 그리고 아직은 단축키라던지 익숙하지 않아서 이클립스가 더 편하네요... 사실 이클립스 단축키를 인텔리제이와 동일하게 할 수 있지만.... 인텔리제이의 기본 설정만 써...

카카오톡 API 로그인 하기

안녕하세요 광흠입니다. 오늘 소개할 내용은 우리나라 대표 메신저 카카오톡 API를 사용한 로그인하는 방법을 소개 드릴까 합니다. https://developers.kakao.com  해당 링크가 카카오톡 API 를 참고할 수 있는 곳입니다. 1 . 사이트를 접속하시면 빨간 테두리에 노란색 화살표를 누르시면 초록색 테두리 ( 내 어플리케이션 ) 을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선택해서 일단 들어가봅시다. 2 . ( 내 어플리케이션 )을 선택하고 들어오시면 해당 페이지가 뜨는데 빨간색 테두리 ( 앱 만들기 )를 클릭하고 새로운 카카오 키를 받아봅시다! 3 . ( 앱 만들기 )는 간단하게 이름만 작성해서 일단 만드시면 됩니다. 4 . ( Create )버튼을 클릭하시면 이렇게 각각 쓰이는곳 마다 키를 발급하는데요 저는 웹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javascript 키를 사용합니다. (실제로 발급하시면 저기 빨간 테두리 공간에 키가 존재합니다) 키를 복사하시고 밑에 html에 "발급받은 키" 공간에 넣어주시면되요 5 . 여기서 플랫폼 추가를 누르셔서 어디서 사용할지를 작성을 해야해요 어디서 사용할지를 작성 하지 않으면 위에 했던 것들이 모두 헛것 이 됩니다...;( 6 .위에서 언급했듯이 저는 웹 에서 쓰기때문에 사이트 도메인 을 작성하였구요 7 .로그인 버튼을 누르시면 팝업창으로 카카오톡 로그인창이 뜹니다. 8 .카카오톡 로그인을 하시면 아래와 같이 여러 정보가 날라오는데  일단 전 이름과 프로필사진(사실상 이 두개면 되지 않을까요..) 만 보이게 해놓았습니다^^

Ext JS 4.2 트리 노드 추가 및 스크롤 이동

Ext.require([ '*' ]); Ext.onReady( function (){      var addButton = Ext.create( 'Ext.Button' , {         text: '노드 추가(Add Node)' ,         scale: 'large' ,         listeners: {         el: {             click: function () {          var thisNode =  Ext.getCmp( 'xAxisTreeUse' ).getRootNode().appendChild({                      "text":"노드 이름 (Node name) "         });                 Ext.getCmp( " tree " ).selectPath(thisNode.getPath());             }         }     });      var   store = Ext.create( 'Ext.data.TreeStore' , {             id:  'stor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