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제 14회 한국자바개발자컨퍼런스 후기

제 14회 한국자바개발자컨퍼런스 후기




8시 정도에 도착을하여 세명의 개발자는 카페베네에서 커피라는 호사를 누리며 컨퍼런스에 입성하게 된다.

들어오자마자 많은 사람들이 있었고 한쪽에서는 책판매(약 20% 세일)을 했고 오라클과 레드햇에서 기념품을 받게 되었다

-오전 10시

개회사 시작을 함 참가자는 대략 500명으로 추정(아까 staff가 약 500명 왔다고한다.)

 아나운서의 인사말과 함께 개회사가 시작이 되었다 사람들은 밑에 사진처럼 진짜 많았다.

(사진에는 다 못담았다...)



- [개회사] 한국 자바 개발자 7대 회장 유현석
class community implement Insight의 의미에대한 설명을 친절하게 해주셨고
개발자의 권익 보호와 기술 공유에 대하여 강조를 하셨다.

유현석 회장님께서 하는 말씀중에 마음에 드는 부분이있었다.

"돈에 따라 움직이는 조직에서는 실제로 퀄리티 있는 소프트 웨어 를 개발하기 힘들다"
그리고 "사람을 위해 소프트웨어를 만들자" 라는 말씀이 너무 좋았다.

- [축사]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단장 이혁재

- [기조연설1] 한국 오라클 최윤석 전무

- [기조연설2] 한국 RedHat 사장 함재경

이 순으로 시작은 되었고 함재경 사장님께서는 너무 위트있게 말씀을 잘 해주시는거 같아서 너무 좋았다 :) 밑에 사진이 함재경 사장님이신데 컨퍼런스에 젊은 사람들이 많이 오는거 같아서 자기도 좀 젊게 보일라고 잘 입지 않는 청바지를 입고 오셨다고 하신다..ㅎㅎㅎ
참 보기 좋은 사장님이시다.




내가 들었던 강연은 밑에와 같다.

1. 아키텍처 리펙토링 ( 부제 : 질서의 본질)      손영수(NHN NEXT)
2. Overview of Spring 4.0      박용권 (KSUG)
3. 조대협의 소프트웨어 개발      조대협(조병욱) ( 삼성전자)
4. vert.x를 활용한 대용량 트래픽 처리를 위한 분산 서버 개발하기      김요한 (LG CNS)
5. (16:30~17:15) 강연은 너무 지처서 휴식.......
6. 스타트업에서의 대규모 인프라 운영      양수열 (소유커뮤니케이션)



저중에 개인적으로 2번이 가장 마음에 들었다.

사진은 못찍었지만 "아 내가 개발자 컨퍼런스 온게 맞구나"라는 느낌이 절로 들었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많이 공감할 만한게 앞에서 질문을 한다면 대답이

잘 안나오는경우가 많다.  이걸 잘 캐치하여 스크린에다가 화면을 띄우고 사람들이

핸드폰으로 웹 페이지를 접속하여 투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센스가 좋고 강연 내용도 너무 좋았다.

간단하게 내용은


기능 소개

새로운 기능 : 
자바 웹소켓 API 지원 : 
spring-websocket module , JSR 356 -> 톰켓 7.0, 8.0에서 지원
SockJS(브라우저 안타고 웹 소켓을 사용할 수 있다.)
spring-messaging module
REST Client 개발시 비동기 처리 : 
여러개의 open API를 한번에 처리한다.
Spring Boot
Spring4.0은 자바 5는 제외했다.

JAVA8 :
@DateTimeFormat
없어진 기능 : 

@Deprecated 클래스 및 메소드 삭제됨
Jackson 2.0에서는 사용 못함


등등 많은 내용을 쓰진 못했지만 정말 제일 잘 들었던 강연이다.


-결론

강연중에서 선물을 주는 강연이 있었는데 선물 주는것때문에 참여율은 좋았지만 그 때만에 줄때마다 필자는 좀 정신산만하였고 집중이 계속 풀어졌다
하지만 듣고 머리에 남는것도 많았다.
그러므로 강연내용이 무엇인지 미리 알아보고 자기가 듣고 싶은 내용을 잘 파악해서
듣는게 정말 중요할 것 같다.


-Epilogue


아침에 너무 일찍 도착해서 학교 내에 있는 카페베네에서 
아메리카노 라는 허세를부리며
기다리는 3인..



사람이 많아도
편안하게 누어서 있는 1인...ㅋ :)



(사진에는 안보이지만 책파는곳도있고 기업들의 홍보도 있었습니다.)




점심은 멕도날드에서 빅맥셋트3개를 시키고 다같이 먹었답니다 :)

즐겁고 보람찬 하루였습니다!!!!

-ps. 아 내 아이패드....ㅠㅠ 선물을 하나도 받지 못한 삼인방은 그날 울었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Intellij에서 Eclipse 프로젝트 import시 설정해줘야 할 것들

요즘 여유가 좀 생겨서 지금까지 Eclipse만 쓰다가 사람들이 하도 Intellij가 좋다하길래 얼마나 좋길래 하고 써보려고 하다가 프로젝트를 import 시키던중 좀 적어두면 좋을거같아서 적어보려고한다 !! 다음에 잊지 않기 위해... 1. Settings > Build, Execution, Deployment > Compiler > Java Compiler 버전 맞추기 2. 상단에 설정 추가 하는부분을 눌러 톰켓을 생성해준다. 꼭 넣어줘야할 부분은 VM options에  -Dfile.encoding=utf-8  한글 깨짐 방지다. (그리고 intellij 설치 된 곳에 bin폴더 안에 vmoptions 확장자를 갖은 녀석의 맨 마지막 줄에도 넣어준다!) 3. project structure > Project Settings > Project 그리고 java버전에 맞춰서 project language level도 맞춰줘야합니다! 4. project structure > Project Settings > Modules - Sources 여기도 project language level도 맞춰줘야합니다! 5. project structure > Project Settings > Modules - Dependencies 들어가서 + 단추를 누르고 Library..를 누르고 Tomcat 추가! 이러면 이클립스에서 갖고온 프로젝트가 잘 동작합니다!! 아 그리고 .settings, .classpath, .project 는 필요 없어지므로 삭제해도 무방합니다 ps. 사실... 이클립스 쓰면서 불편한건 하나도 없었어요... 그리고 아직은 단축키라던지 익숙하지 않아서 이클립스가 더 편하네요... 사실 이클립스 단축키를 인텔리제이와 동일하게 할 수 있지만.... 인텔리제이의 기본 설정만 써...

카카오톡 API 로그인 하기

안녕하세요 광흠입니다. 오늘 소개할 내용은 우리나라 대표 메신저 카카오톡 API를 사용한 로그인하는 방법을 소개 드릴까 합니다. https://developers.kakao.com  해당 링크가 카카오톡 API 를 참고할 수 있는 곳입니다. 1 . 사이트를 접속하시면 빨간 테두리에 노란색 화살표를 누르시면 초록색 테두리 ( 내 어플리케이션 ) 을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선택해서 일단 들어가봅시다. 2 . ( 내 어플리케이션 )을 선택하고 들어오시면 해당 페이지가 뜨는데 빨간색 테두리 ( 앱 만들기 )를 클릭하고 새로운 카카오 키를 받아봅시다! 3 . ( 앱 만들기 )는 간단하게 이름만 작성해서 일단 만드시면 됩니다. 4 . ( Create )버튼을 클릭하시면 이렇게 각각 쓰이는곳 마다 키를 발급하는데요 저는 웹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javascript 키를 사용합니다. (실제로 발급하시면 저기 빨간 테두리 공간에 키가 존재합니다) 키를 복사하시고 밑에 html에 "발급받은 키" 공간에 넣어주시면되요 5 . 여기서 플랫폼 추가를 누르셔서 어디서 사용할지를 작성을 해야해요 어디서 사용할지를 작성 하지 않으면 위에 했던 것들이 모두 헛것 이 됩니다...;( 6 .위에서 언급했듯이 저는 웹 에서 쓰기때문에 사이트 도메인 을 작성하였구요 7 .로그인 버튼을 누르시면 팝업창으로 카카오톡 로그인창이 뜹니다. 8 .카카오톡 로그인을 하시면 아래와 같이 여러 정보가 날라오는데  일단 전 이름과 프로필사진(사실상 이 두개면 되지 않을까요..) 만 보이게 해놓았습니다^^

구글 로그인 연동

구글 로그인 연동이 2019년에 새롭게 재작성되었습니다  [최신 글 보기] 안녕하세요 광흠입니다. 이번에 포스팅 할 내용은 제목보시면 아시겠지만 google oauth2를 이용한 로그인 연동을 해볼텐데요. 우선 준비하실 부분이 몇가지 있습니다. 화면 보시고 따라오시면 금방 하실 수 있을겁니다 ^^ 1. 구글 콘솔에서 프로젝트 생성  https://console.developers.google.com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은 저처럼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을거에요 그럼 프로젝트 만들기 버튼을 클릭해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해봅시다. 이번에 로그인 테스트이니 이름을 google-login-test로 해보겠습니다. 주의하셔야 할 점은 ' 프로젝트 이름 '과 ' 프로젝트 ID '는 동일하면 생성이 되질 않습니다. 생성을 하시면 이 화면으로 오게 됩니다. 여기서 메뉴쪽 보시면  API 및 인증 하위 메뉴에 사용자 인증 정보 메뉴를 클릭 해줍니다. 이 화면으로 오시면 새 클라이언트 ID 만들기 버튼을 클릭해주시면 생성해주시면 이렇게 ' 웹 애플리케이션용 클라이언트 ID' 라는 테이블이 하나 생성이 되는데요. 여기서 생성된 ' 클라이언트 ID ' 를 잘 메모장에 적어둡시다. 여기까지하면 google api를 사용할 수 있게 준비가 되어있는데요. 그 후  https://developers.google.com/+/web/signin/  여기 google 쪽 읽어보시고 거기에있는 예제 코드로 바로 사용하셔도 무방할 정도로 잘 정리되어있습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예제코드에 clientid 그대로 사용하시면 401 에러 나면서 로그인 못하실 꺼에요 꼭 위에 생성한 ' 클라이언트 ID '를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이상 구글 로그인 연동 포시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 ...